검색결과 리스트
다이어트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3.12.07 고구마 GI지수,GI지수란??
- 2013.10.30 요요현상의 원인??
고구마 GI지수,GI지수란??
요즘들어,GI지수가 낮은 음식을 먹어야한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려오네요.
GI지수가 낮아야 다이어터들에게 도움이 된다나요?
그래서.
GI지수뜻은 뭐지?
고구마 GI지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약간은 어려워보이기는 하지만,
GI지수는 음식을 먹었을때 얼마나 빠른 속도로 포도당으로
전화되어 혈당농도를 높이는지 표시한 수치라고합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포도당 농도가 빨리 상승한다고하네요.
포도당의 농도가 빨리 증가하면,
비만과 당뇨, 유방암등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고도합니다.
GI지수가 높은 음식은 인슐린을 많이많이 분비해서,
당뇨를 유발시키고, 지방을 축적하게 만들기때문에 비만의 원인이된다고합니다.
실시간검색어에 고구마 GI지수가 떴네요!
고구마는 GI지수가 낮은 음식일까요?
요즘같이 쌀쌀한 날에는 따끈따끈한 군고구마가 생각나잖아요.
아 갑자기. 군고구마가 당기네요.
"겨울계절음식이라면 단연 군고구마님♥"
고구마가 핫이슈에 오른건,
고구마 GI지수가 낮기때문에 다엿뜨에 도움이 되기 때문!!!
저 진짜 고구마 다좋아하는데,
라떼부터, 무스, 타르트..다들 좋아라하지만
왠지 살찔거 같음.ㄷㄷ
어쨌든 결론은,
고구마 GI지수는 55이고,
감자 GI지수가 90, 쌀밥은 100이라고하니 딱 좋은 다여뜨음식인듯♥
특히, 고구마 중 자색고구마는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성분을 함유하고있다고합니다.
고구마 껍질에는 고구마의 속보다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성분이 많이 있어 껌질채로 드시길 강추♥
다이어트보다 더 무서운 요요현상!
요요현상 무서워서 다이어트 하기도전에 피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모든 여성의 고민거리 1위 다이어트와 피할래야 피할 수 없는 요요현상!!!
요요현상은 무엇일까요?
쉽게 이야기해, 요요현상은 체중 감량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요요'와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어려운 말로는, '체중재순환' 또는 '요요다이어트'라고 합니다.
즉! 요약해서말하면,
식이요법에 의한 체중 감량을 한 후 감량했던 체중이 다시 원래의 체중으로 돌아가는 현상입니다.
요요현상의 원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손꼽히는것은 굶어서 살을 빼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굶는다이어트 정말 많이하잖아요?
굶는다이어트는 기초대사량을 떨어트리기때문에, 단기간에 무리하게 굶는 다이어트를 할 경우
몸이 일하는 속도 즉! 기초대사량이 줄어들어 지방 연소율이 낮아지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때 다시 음식을 먹으면 체내에서 빨리 지방으로 축적하려는 성질이 있기때문에 다시 살이 찌는 것입니다.
두번째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장 독소'가 손꼽힙니다.
평소 위랑 장이 건강해야 다이어트 성공율도 업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장의 연동운동 능력이 떨어져 숙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 극심한 다이어트로 인한 요요현상이 심해 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요요현상 예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모든 다이어터들은 요요현상이 없는 다이어트를 원하고있습니다!
우리 몸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항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이어트로 갑자기 체중이 줄었을때,
우리 몸의 항상성으로 인해, 원래 체중으로 돌아가려고합니다.
체중이 감량하는 기간이 길어지고 감량된 체중이 유지되는 시간 또한 길어진다면!
욛요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듭니다.
그외에도, 요요현상없는 다이어트를 하실려면
열량의 제한은 기본이고,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의 보충이 꼭 필요하며!!
절대 단식에 의존하지 말고,
적절한 식이요법과, 더 많은 신체 활동을 함으로써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절한 근력운동을 통해 지방이 축적되지 않게,
축척된 지방은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똑똑한 다이어트를 해야 합니다.
운동의 효과는!
근육 조직을 증가시켜 기초대사량을 높여주기때문에,
지방의연소 속도를 높여준다는 사실★
다이어트의 뜻은 "균형잡힌 영양의 식이요법"이라는 사실!
균형잡힌 영양과 적절한 운동을 섞는다면 요요현상을 예방하고 나이스한 몸매를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다이어트 방법입니다.
RECENT COMMENT